본문 바로가기
한방 소아과

[울산 열성경련 치료] 어린이 소아 열경련 열경기. 아이가 기절 졸도 실신 의식상실 경직 강직. 치료잘하는 추천 울산시 북구 중구 아이플러스한의원.

by 아이plus한의원 2024. 6. 22.

 

 

 

열성 경련

경기(驚氣)ㆍ경풍(驚風)

 

 

 

 

 

 

 

 

경련(痙攣)은 의식이 없어지면서 몸이 강직되고 떨리거나 힘없이 축 늘어져 있는 싱태를 말합니다.

 

경기(驚氣) 또는 경풍(驚風)이라고도 하며, 어린이는 아직 뇌의 발달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감정이나 신체적 변화에 따라 뇌세포가 자극을 받아 경련을 일으키게 됩니다.

 

어린이의 10% 정도가 경련을 경험하게 됩니다.

 

경련은 근육의 수축으로 몸과 팔다리가 긴장되는 강직성 경련과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는 간헐성 경련으로 나눕니다.

 

 

열성 경련은 어린이가 뇌의 이상 없이 발열을 동반하면서 경련이 발생하는 것으로 소아의 가장 흔한 발작 질환입니다.

 

3개월 ~ 5세의 아이에게 주로 발생하고, 전체 소아의 3~4% 정도가 열성 경련을 경험하며, 나이가 들수록 열성 경련은 점차 감소하여 7세 이상이 되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경련은 열을 동반할 때는 열성 경련이 가장 많고, 고열 없이 경련을 하는 경우에는 소화기의 이상(급체, 변비, 설사)이 가장 많습니다. 그 외 놀라고, 화나고, 울면서 경련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열성 경련의 원인】

 

열성 경련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고열로 인한 뇌의 산소 부족, 뇌내로의 독소 침입, 뇌부종 등이 발생하여 뇌세포의 기능에 일시적인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원인 질환으로는 감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편도염, 인후염, 중이염, 위장염, 돌발진 등이 대표적입니다.

 

 

부모와 형제가 열성 경련이 있었다면 일반적인 사람보다 3~4배 정도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경향이 있을 것으로 봅니다.

 

유전적 경향이 있는 환자 가족의 60 ~ 70% 정도에서 열성 경련이 발생합니다.

 

 

 

 

 

 

 

 

【열성 경련의 증상】

 

대체로 체온이 39℃ 이상으로 발열이 있을 때 잘 발생합니다.

 

경련은 하루 1번 발생하고, 시간은 15분 이내입니다.

 

의식이 없고, 온 몸이 뻣뻣해지고 팔다리나 몸을 떨리며, 안구가 한쪽으로 돌아가기도 합니다.

 

입술이 파랗게 되기도 하고, 침을 많이 흘리기도 합니다.

 

경련이 끝난 후에는 잠을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전형적인 열성 경련이고, 이를 단순 열성 경련이라고 합니다.

 

단순 열성 경련으로는 머리가 나빠지거나 간질로 진행하는 등의 뇌신경의 이상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비전형적인 열성 경련을 복합 열성 경련이라고 하고, 아래의 복합 열성 경련의 증상이 보이는 경우에는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경련이 하루에 2번 이상 발생하거나, 경련 시간이 15분 이상 지속하거나, 경련의 발작이 전신이 아나라 몸의 한쪽 부분에서만 비대칭으로 발생하거나, 호흡이 15초 이상 멈추는 경우입니다.

 

 

 

 

 

 

 

 

【열성 경련의 한방 치료】

 

한의학에선 경련의 발생 원인을 아래와 같이 봅니다.

 

① 급성ㆍ열성 질환으로 인한 발열로 발생.

② 급체나 식중독으로 인한 담화(痰火)로 발생.

③ 놀라거나 심리적인 충격, 스트레스로 인해서 발생.

④ 심한 설사나 구토로 인해 발생.

⑤ 선천적으로 허약해서 오는 뇌신경의 기능부전으로 해서 발생.

⑥ 오랜 병으로 몸의 약해져서 발생.

 

 

열성 경련은 경련 시간이 짧다보니 병원에 내원했을 때는 이미 증상이 멈춘 경우가 많습니다.

 

경련 증상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련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관리를 하는 방향으로 관리하고 치료합니다.

 

경련은 결국 몸의 조절기능이 약해져서 발생하기 때문에 경련 재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몸의 허약한 부분을 한약으로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허약한 몸을 건강하게 하여 열성 감염성 질환의 발병 빈도를 줄여서 열성 경련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어줍니다.

 

그리고, 발열이 일어나는 원인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합니다.

 

 

 

 

 

 

 

 

【소아 경련 발작시 대처 요령】

 

경련 발작시 보호자가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ㆍ안전한 곳에 편안히 눕히고, 주위에 다칠 수 있는 물건을 치워주세요.

ㆍ옷을 느슨하게 풀어 편안히 호흡하도록 해주세요.

ㆍ아이를 만지거나, 흔들어 깨우지 마세요.

ㆍ떨고 있는 팔다리나 몸을 꽉 잡지 마세요.

ㆍ가래나 구토물이 있으면 몸과 고개를 옆으로 돌려 목으로 넘어가지 않게 해주세요.

ㆍ입안에 음식이 있다면 손가락으로 꺼내어 질식을 막아주세요.

ㆍ의식이 돌아오기 전까지는 물이나 어떠한 약도 먹이지 마세요.

ㆍ열이 있다면 이마에 젖은 수건 등으로 식혀주세요.

ㆍ경련 후에 잠든 아이를 억지로 깨우지 마세요.

ㆍ경련을 오래 지속하거나(15분이상), 반복해서 발작하면 병원으로 데려가세요.

 

 

 

 

 

 

 

 

 

 

 

 

울산시 중구 북구 상안동, 호계, 천곡, 달천, 신천, 매곡, 중산

아이플러스한의원

소아·어린이, 여성질환,

비염, 성장, 보약,

체형교정, 턱관절, 봉약침, 추나.

홈플러스 울산 북구점 맞은 편

052)282-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