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화 건염 (Calcific Tendinitis)
건염(Tendinitis)은 힘줄(건)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고, 석회화 건염은 힘줄에 석회(칼슘)가 쌓여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인체의 힘줄 조직 어디라도 석회가 쌓일 수 있으나, 대부분의 석회화 건염은 어깨의 회전근개 중 하나인 극상근의 힘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어깨는 인체의 관절 중 가장 큰 범위로 움직이고, 가장 많이 쓰는 관절이다 보니 다른 부위에 비해서 석회화 건염이 자주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석회화 건염은 주로 30세 이상에서 나타나고,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됩니다.
쌓인 석회는 천천히 흡수되기 때문에 70세 이상의 고령에서는 석회화 건염이 아주 드뭅니다.
석회화 건염은 X-ray 검사를 통해 하얗게 석회화된 조직을 보고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석회화 건염의 원인과 진행 단계】
힘줄이 석회화되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과사용, 충격 등으로 손상된 힘줄에 혈액의 순환이 부족하거나 산소가 부족해 회복이 부진한 경우, 힘줄에 잦은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힘줄의 퇴행성 변화 등으로 석회화 건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석회화 건염의 진행 단계를 전석회화 시기(precalcific stage), 석회화 시기(calcifying stage), 후석회화 시기(postcalcific stage)의 3단계로 분류합니다.
전석회화 시기는 석회 침전물이 형성되기 전의 단계로 힘줄 조직의 세포 변화가 시작되는 상태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증상이 없어 석회화 건염을 감지하기가 어려우므로 석회화 건염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가 힘듭니다. 다만, 이 단계에서 건강관리가 잘 된다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석회화 시기는 힘줄 조직의 세포에서 배설된 석회가 침전물(덩어리)을 형성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움직일 때 특정 위치와 각도에서 통증과 이물감, 소리가 나타날 수 있고, 심한 통증은 드문 편입니다. 치료를 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후석회화 시기는 석회 침전물이 서서히 녹아서 힘줄에 흡수되고, 염증 반응으로 이어지는 단계입니다. 통증이 가장 심한 시기로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병변 부위를 누르면 더욱 심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석회화 건염의 증상】
석회화 건염의 주된 증상은 특별한 외상없이 갑자기 발생하는 강한 통증과 움직임의 제한입니다.
가장 빈도가 높은 어깨의 석회화 건염의 경우 통증은 대체로 어깨 관절 앞쪽에서 나타나고, 통증으로 인해 팔을 앞이나 옆으로 들어올리기가 힘듭니다.
낮보다는 밤에 통증이 더 심한 경우가 많고, 어깨를 만지면 심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아픈 어깨를 아래쪽으로 오게 해서 옆으로 눕기가 힘들어 수면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어깨의 석회화 건염은 어깨충돌증후군,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회전근개 질환 등과 동반하여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석회화 건염의 한방치료】
석회화 건염의 한의학적인 발병 원인은 어혈(瘀血), 담음(痰飮), 풍한습(風寒濕)의 사기(邪氣. 병을 일으키는 나쁜 기운), 기혈(氣血)부족, 노화에 의한 퇴행성 변화, 과다한 사용 등이 있습니다.
혈(血)은 영양분을 함유하여 인체 곳곳에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혈액속에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노폐물이 많이 섞여있으면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어혈(瘀血)의 상태가 됩니다.
어혈이 많은 혈액은 근육과 힘줄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없어 전신의 근육과 힘줄의 기능과 회복력이 나빠지게 됩니다.
진액(津液)은 면역기능, 윤활기능, 노폐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합니다.
진액내에 노폐물이 많아지면 담음(痰飮)이 형성되고, 담음을 많이 포함한 진액은 기능이 약해져 근육과 힘줄을 윤활시키는 기능 및 쌓인 칼슘을 배출하고 손상을 회복하는 기능이 저하됩니다.
풍한습(風寒濕)의 사기(邪氣)가 인체내로 침범하면 경락순환을 방해하여 근육과 힘줄이 굳어지고 움직임이 나빠집니다. 바람이 불고 차갑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근육과 힘줄이 굳고 부어 운동이 원활하지 않고, 운동으로 인한 손상이 쉽게 발생합니다.
몸이 허약하여 기혈(氣血)이 부족하면 근육과 힘줄에 충분한 에너지 공급이 어려워 근육과 힘줄의 기능이 약해지고 쉽게 손상받게 됩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근육과 힘줄이 약해지고 굳어지면 활동하기 힘들고, 활동으로 인해 손상 받기 쉬워집니다.
근육과 힘줄은 꾸준히 운동하면 더 강해집니다. 그러나, 너무 많이 쓰게 되면 손상을 회복하는 속도보다 손상이 진행되는 속도가 더 빨라 손상과 염증이 점점 더 진행됩니다.
석회화 건염은 석회를 제거하는 것보다는 증상을 호전시키고, 어깨의 운동 및 스트레칭을 통해서 어깨 관절의 가동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석회화 건염은 봉약침치료, 침치료, 뜸치료, 부항치료, 한약치료를 통해 치료하게 됩니다.
봉약침치료는 석회가 침착된 부위로 자입해 염증을 없애고 통증을 줄이고 운동범위를 회복합니다.
침치료로 기혈순환을 원활히 하여 손상 조직의 회복을 앞당기고, 근육과 힘줄의 긴장을 풀어줍니다.
뜸치료는 따뜻하게 하여 힘줄의 손상을 회복하고, 힘줄 조직을 이완시켜줍니다.
부항치료는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기혈순환을 개선합니다.
한약은 기혈을 공급하여 어깨의 근육과 힘줄을 강화하고, 어혈, 담음, 풍한습을 제거합니다.
【석회화 건염을 예방 및 완화하기 위한 생활관리】
ㆍ반복적이고 무리한 팔과 어깨의 사용을 자제합니다.
ㆍ팔과 어깨를 사용하기 전후에 스트레칭과 체조로 부드럽게 이완시킵니다.
ㆍ운동을 하기 전에 아픈 부위를 10~20분 정도 온찜질합니다.
ㆍ어깨 통증이 유발되는 자세를 피합니다.
ㆍ어깨에 충격이 가해지는 운동이나 활동을 피합니다.
ㆍ어깨가 아플 때는 즉시 휴식을 취합니다.
ㆍ구부정한 자세를 피하고 등과 어깨를 펴도록 노력합니다.
ㆍ규칙적으로 고른 영양을 섭취합니다.
ㆍ평소에 어깨와 몸을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단, 통증 초기나 통증이 심할 때에는 냉찜질을 합니다.
ㆍ통증이 완화되면 어깨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합니다.
【어깨 스트레칭 및 운동】
① 어깨 돌리기
상체를 펴고 팔은 자연스럽게 내린 채 양쪽 어깨를 ‘앞→뒤’ 와 ‘뒤→앞’ 방향으로 최대한 크게 돌립니다.
그리고, 팔과 어깨를 큰 원을 그리듯 함께 돌려줍니다.
② 어깨 후외측 스트레칭
상체를 펴고 한 쪽 손(또는 전완부)으로 스트레칭할 팔의 팔꿈치(또는 상완부)를 당겨서 어깨 후외측을 스트레칭 합니다.
스트레칭하는 팔의 팔꿈치를 굽히면 더 강하게 스트레칭할 수 있습니다.
③ 어깨 뒤쪽 스트레칭
상체를 펴고 팔을 들어 팔꿈치를 굽힌 채 다른 손으로 스트레칭할 팔꿈치 부위를 잡고 뒤로 당겨 어깨 뒤쪽을 스트레칭 합니다.
④ 어깨 앞쪽 스트레칭
양손을 허리 뒤에서 깍지낀 후 팔을 쭉 편 채 어깨를 아래로 내려 어깨 앞쪽과 가슴부위를 스트레칭합니다.
⑤ 어깨 위쪽 스트레칭
스트레칭할 어깨의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고(또는 손을 허리에 대고) 다른 손으로 머리 옆을 잡고 머리를 옆으로 당겨 스트레칭합니다. 이 때 스트레칭할 어깨를 아래로 내리면 더 강하게 늘여줄 수 있습니다.
⑥ 팔 들고 내리기
벽에 허리와 등, 양팔을 붙인 채 팔을 위로 들고, 아래로 내리기를 반복합니다. 이 때 팔을 최대한 위로 든 위치에서 3~5초 정도 힘을 주어 정지하고, 팔을 최대한 아래로 내린 위치에서도 힘을 주고 3~5초 정도 정지를 합니다.
⑦ 팔 밀고 당기기
상체를 펴고 팔을 앞으로 든 채 팔을 뒤로 최대한 당기고 앞으로 최대한 밀어줍니다. 이 때 팔을 최대한 당긴 위치에서 3~5초 정도 힘을 주어 정지하고, 팔을 최대한 민 위치에서도 힘을 주고 3~5초 정도 정지를 합니다.
탄력밴드를 이용하면 더 강한 운동이 가능합니다.
⑧ 내회전 운동
상체를 펴고 운동할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고 팔꿈치를 굽힌 채 팔을 몸 안쪽으로 내회전시킵니다. 이 때 다른 손으로 지지하여 팔이 움직이지 않게 버팁니다. 10~15초 정도 힘을 줍니다.
⑨ 외회전 운동
상체를 펴고 운동할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고 팔꿈치를 굽힌 채 팔을 몸 바깥쪽으로 외회전시킵니다. 이 때 다른 손으로 붙잡고 팔이 움직이지 않게 버팁니다. 10~15초 정도 힘을 줍니다.
울산시 중구 북구 상안동, 호계, 천곡, 달천, 신천, 매곡, 중산
아이플러스한의원
소아·어린이, 여성질환,
비염, 성장, 보약,
체형교정, 턱관절, 봉약침, 추나.
홈플러스 울산 북구점 맞은 편
052)282-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