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 통증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
팔꿈치 관절(elbow joint)은 상완골(위팔뼈. humerus)과 척골(자뼈. ulna), 요골(노뼈, radius)의 관절로 구성됩니다. 상완골과 척골의 관절인 완척관절은 전완(아래팔)을 굽히고 펴는(굴신) 운동을 하고, 요골과 척골의 관절인 상요척관절은 전완의 내회전과 외회전 운동을 하며, 상완골과 요골의 관절인 완요관절은 굴신운동과 회전운동에 모두 관여합니다.
팔꿈치에는 팔과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한 근육들이 상완골과 척골, 요골에 붙어있고, 팔꿈치 관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인대가 관절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전완을 굽히는 근육은 팔꿈치의 앞쪽으로 연결되고, 전완을 펴는 근육은 팔꿈치의 뒤쪽으로 연결됩니다.
손목과 손가락을 굽히는 근육은 팔꿈치의 안쪽(내측)에 연결되고, 손목과 손가락을 펴는 근육은 팔꿈치의 바깥쪽(외측)에 붙어있습니다.
팔꿈치의 통증은 팔꿈치 관절과 근육, 힘줄(건), 인대에 손상과 염증으로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상완골의 내측상과에는 손목과 손가락을 손바닥 방향으로 굽히는 근육(굴곡근)의 힘줄이 붙어 있고, 상완골의 외측상과에는 손목과 손가락을 손등 방향으로 펴는 근육(신전근)의 힘줄이 붙어있습니다.
내측상과염은 굴곡근의 손상과 염증으로 유발되는 질환으로 골프를 칠 때 땅바닥을 내리치면 팔꿈치에 강한 충격이 전달되어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골프 엘보라고 이야기합니다.
외측상과염은 신전근의 손상과 염증으로 유발되는 질환으로 테니스의 백핸드 스트로크를 할 때 팔꿈치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테니스 엘보라고 이야기합니다.
내ㆍ외측상과염을 비롯한 팔꿈치의 통증은 골프와 테니스 뿐만 아니라 팔과 손을 많이 쓰는 사람은 누구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을 많이 쓰게 되면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내ㆍ외측상과에 연결된 힘줄에 무리한 압력이나 힘이 가해져서 염증이나 손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팔에 힘을 많이 쓰는 경우에도 팔꿈치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팔꿈치 관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인대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팔꿈치의 인대가 약해지면, 약해진 부분에 힘이 가해질 때마다 통증이 유발되거나, 갑자기 힘이 빠지거나 손에 힘이 안 들어가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팔꿈치 통증의 원인】
팔꿈치 통증의 가장 큰 원인은 팔과 손을 많이 쓰는 것입니다.
반복적으로 많이 쓰거나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써 근육, 건, 인대에 미세한 손상과 염증이 발생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염증과 손상이 점점 더 심해져 만성 통증으로 진행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근육, 건, 인대, 관절이 약해지는 퇴행성변화에 의해서도 팔꿈치가 아파질 수 있습니다.
대체로 한 번의 충격으로 발생하기 보다는 충격이 반복되면서 서서히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팔꿈치 통증의 30% 정도는 급성 손상이고, 70% 정도는 만성 손상으로 점진적인 염증과 손상의 진행으로 발생힙니다.
직업상 팔을 많이 쓰는 요리사, 운동선수, 목수와 반복적인 가사노동을 하는 주부,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람 등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팔꿈치 통증의 증상】
엘보 질환의 주증상은 손상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입니다.
팔꿈치의 안쪽, 바깥쪽, 앞쪽, 뒤쪽으로 손상부위에 따라서 통증이 발생하고, 손과 손목, 팔을 사용할 때 통증이 더 심해지게 됩니다.
통증과 함께 당김, 저림, 찌릿함, 뻐근함, 뻣뻣함, 민감한 느낌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통증은 대체로 서서히 나타나서 정확한 발병시점을 모르는 경우가 많고, 통증이 심하면 일상생활과 수면의 지장을 초래하며, 통증으로 인해 근육에 힘이 안 들어가기도 합니다.
아픈 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나타나고, 물건을 들거나 팔을 비트는 동작에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으며, 손상부위가 붉어지거나 부어오르기도 합니다.
팔꿈치 관절이 뻣뻣해지고, 정지된 자세로 오래 있다가 움직일 때 통증이 더 심한 경향이 있습니다.
팔꿈치의 통증이 전완부(아래팔)와 손목으로 이어져서 나타나고, 신경을 자극하면 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팔꿈치 통증의 치료】
한의학에서는 팔꿈치 통증은 비증(痺證)의 범주로 봅니다.
통증이 여기 저기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는 행비(行痺), 통증이 심하고 차가울 때 더 아픈 통비(通痺), 통처가 붓는 착비(着痺), 통증과 함께 화끈거리는 열감이 있는 열비(熱痺), 기혈(氣血) 순환의 장애로 어혈이 발생하여 아파지는 어혈비(瘀血痺),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허비(虛痺)로 분류합니다.
풍한습(風寒濕)의 사기(邪氣. 병을 일으키는 나쁜 기운)가 팔꿈치 관절에 침범을 하거나, 근육과 관절의 과사용, 기혈 순환의 장애 및 근육과 관절의 영양공급 부족 등이 원인이 됩니다.
엘보 질환의 치료는 손과 팔의 근육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봉약침치료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손상된 조직을 복구시키고, 침치료로 기혈 순환을 개선하고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며, 뜸치료로 힘줄과 인대의 탄력을 회복시킵니다.
몸의 허약으로 근육과 관절의 영양이 부족하면 회복력이 약해 통증의 호전이 더디게 됩니다. 이때는 한약을 써서 몸의 기혈을 채워주어 근육과 관절의 영양을 공급해주어야 회복이 원활합니다.
급성 팔꿈치 통증의 경우 치료 기간이 2주 정도 소요되는 경우가 많고, 만성 팔꿈치 통증은 손과 팔을 일상 생활에서 사용할 수 밖에 없다보니 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전 속도가 조금 더디더라도 꾸준히 치료하면 잘 나을 수 있습니다.
아이플러스한의원에서는 2023년 1~2월에 개원 15주년 기념 소아ㆍ청소년의 한약 할인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소아ㆍ청소년 한약 할인 : https://iplus-km.tistory.com/46
【팔꿈치 통증의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생활관리】
ㆍ손과 팔의 과도한 사용을 피하세요.
ㆍ팔꿈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휴식입니다.
장시간 반복되는 작업을 할 때는 휴식시간을 가지세요.
통증 발생 초기에 휴식으로 손상된 건과 인대가 나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ㆍ손과 팔을 사용하기 전후에 스트레칭을 합니다.
ㆍ불가피하게 손과 팔을 사용한다면 팔꿈치에 밴드(보호대)를 착용합니다.
밴드 착용 위치는 팔꿈치 아래 전완의 가장 두꺼운 부분에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ㆍ통증이 있을 때는 냉찜질을 하고, 평소에는 따뜻하게 합니다.
ㆍ통증이 완화되면 팔꿈치의 근육을 강화는 운동을 합니다.
【팔꿈치 스트레칭】
ㆍ신전근 스트레칭
스트레칭 할 팔을 편 상태로 반대편 손으로 손과 손목을 손바닥쪽으로 당겨서 스트레칭합니다.
ㆍ굴곡근 스트레칭
스트레칭 할 팔을 편 상태로 반대편 손으로 손과 손목을 손등쪽으로 당겨서 스트레칭합니다.
【팔꿈치 운동】
ㆍ신전근 운동
팔을 편 상태로 손목을 손등쪽으로 최대한 굽히고,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합니다.
주먹을 펼 때 손가락을 최대한 펴주는 것이 좋습니다.
ㆍ굴곡근 운동
팔을 편 상태로 손목을 손바닥쪽으로 최대한 굽히고,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합니다.
주먹을 쥘 때 손가락을 최대한 굽혀주는 것이 좋습니다.
울산시 중구 북구 상안동, 호계, 천곡, 달천, 신천, 매곡
아이플러스한의원
소아·어린이, 여성질환,
비염, 성장, 보약,
체형교정, 턱관절, 봉약침, 추나.
홈플러스 상안점 맞은 편
052)282-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