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침구과

[울산 방아쇠손가락 치료] 방아쇠수지증후군, 탄발지. 손가락이 안 펴져요, 손가락이 안 굽혀져요, 손가락이 튕겨요. 봉약침치료. 치료잘하는 추천 울산시 북구 중구 아이플러스한의원.

by 아이plus한의원 2022. 11. 8.

 

 

방아쇠 손가락 (방아쇠 수지탄발지)

 

 

 

 

 

 

 

 

손가락은 손끝에 5개로 갈라진 부분으로 손바닥을 아래로 했을 때 가장 내측부터 엄지(1)검지(2)중지(3)약지(4)소지(5)로 구성됩니다.

 

손가락뼈는 수2~5지의 경우 3개의 마디로 구성되고몸쪽에서 가까운 것부터 순서대로 기절골(첫마디뼈)중절골(중간마디뼈)말절골(끝마디뼈)이 있습니다.

1지는 2개의 마디로 구성되고기절골과 말절골이 있습니다.

 

 

손가락 관절은 손가락뼈끼리의 지절간관절(InterPhalangeal joint. IP joint)과 손바닥의 중수골(손허리뼈)과 기절골 사이의 중수지절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MCP joint)이 있어 손가락의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합니다.

 

몸에서 가까운 지절간관절을 근위지절간관절(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PIP joint)이라고 하고몸에서 먼 지절간관절을 원위지절간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 DIP joint)이라고 합니다.

 

 

 

 

 

 

 

 

손가락에는 근육과 힘줄()이 연결되어 있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손가락의 손바닥 쪽에는 손가락을 굽히는 근육과 힘줄이 있고손등 쪽에는 손가락을 펴는 근육과 힘줄이 있습니다.

 

손가락을 굽힐 때 사용하는 근육의 힘줄은 도르래(활차, pulley)라는 인대 속으로 지나가는데도르래는 고리도르래(Annular pulley)와 십자도르래(Cruciate pulley)로 분류됩니다.

 

고리도르래는 A1~A5로 구성되고십자도르래는 C1~C3로 구성됩니다.

대체로 A1은 중수지절관절(MCP joint)에 A3는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 A5는 원위지절간관절(DIP joint)에 위치하고, A2는 기절골의 중간, A4는 중절골의 중간에 위치합니다.

 

힘줄은 도르래 속을 왕복운동하는 동안 마찰력을 줄이고 원활한 움직임을 하기 위해 윤활액을 분비하는 활액막으로 둘러싸여 있고이 활액막은 건초(건막)라고 합니다.

 

 

 

 

 

 

 

 

방아쇠 손가락은 손가락을 굽히는 힘줄이 붓거나 결절이 생기거나힘줄이 지나가는 도르래가 두꺼워지고 좁아져서 힘줄이 도르래속을 통과하기 어려워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손가락을 굽히고 펼 때 부드럽게 움직이지 못하고힘줄이 도르래에 걸려서 손가락이 안 움직이다가 갑자기 튕기듯이 움직이게 됩니다.

 

손가락을 굽히는 힘줄에 종창 및 결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협착성 건초염(stenosing digital tenosynovitis)이라고 합니다.

 

방아쇠 손가락이라는 병명은 손가락을 굽히고 펼 때 부드럽게 움직이지 못하고끊어지는 듯한 움직임 또는 갑작스럽게 튕기듯이 움직여지는 손가락의 모양이 방아쇠를 당기는 모습과 닮았고굽히고 펴는 동작이 방아쇠를 당길 때의 저항감과 비슷하다고 하여 명명되었으며탄발지(彈發指)라고도 합니다.

 

손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 40~60대의 중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방아쇠 손가락의 원인

 

반복적으로 손가락을 사용함으로 인해 힘줄과 도르래에 지속적인 마찰과 손상이 가해져 힘줄과 도르래의 염증비후종창결절이 발생하는 것을 주요한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테니스배드민턴골프 등의 라켓을 손에 쥐고 경기하는 운동선수운전대나 손잡이가 달린 도구를 장시간 손에 쥐는 사람드릴과 같은 전동기계를 많이 다루는 사람손가락에 강한 힘을 주거나 장시간 손가락을 굽힌 채 일하는 사람손가락을 굽히고 펴는 동작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뇨병통풍성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결절종 등의 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방아쇠 손가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아쇠 손가락의 증상

 

방아쇠 손가락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손가락이 잠긴 것처럼 펴지지 않거나 굽혀지지 않고힘줄이 도르래에 걸렸다가 풀어지는 순간 튕기듯이 손가락이 펴지거나 굽혀지는 것입니다.

 

손가락이 튕기듯이 움직일 때 하는 소리가 나기도 하고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손가락이나 손바닥 부위에 덩어리 같은 것이 만져지기도 하고누르면 통증이 발생하고부을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손가락이 굽은 채로 고정될 수 있으니 발병 초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https://youtu.be/8hq9K96rM1c

 

 

 

 

방아쇠 손가락의 치료

 

일반적으로 방아쇠 손가락은 병변 부위에 봉약침치료를 하고힘줄과 도르래의 원활한 운동을 회복하기 위해 침치료뜸치료를 합니다.

 

봉약침치료는 소염작용으로 힘줄과 도르래의 염증을 가라앉히고진통작용으로 손가락과 손의 통증을 치료하고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병소의 회복을 도와줍니다.

 

침치료로 기혈순환을 촉진하여 병변 부위의 회복력을 높여주고뜸치료로 손상된 힘줄과 도르래의 조직을 튼튼하게 회복시킵니다.

 

 

손의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은 경추신경에서 분지되어 손끝까지 분포되는데경추의 이상으로 경추신경이 자극받으면 손가락의 움직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경추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경추질환을 함께 치료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추질환의 치료에는 경추의 배열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경추신경의 자극을 풀어주는 추나치료와 경추신경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봉약침치료를 합니다.

 

 

손가락의 변형을 방지하고손가락의 기능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증상 초기에 빠른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방아쇠 손가락의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생활관리

 

ㆍ손가락의 반복적인 사용을 피합니다.

ㆍ증상이 있을 때는 손가락을 움직이기보다는 안정을 취합니다.

ㆍ손가락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한 후에 스트레칭을 합니다.

ㆍ손가락 사용 중에 증상이나 불편감이 발생하면

   사용을 바로 멈추고 안정을 취합니다.

ㆍ평소에 손을 따뜻하게 관리합니다.

ㆍ손가락을 많이 쓴 날은 따뜻한 물에 손을 담그고,

   손가락과 손바닥의 굽힘근 힘줄을 부드럽게 마사지해주면 좋습니다.

ㆍ손가락에 통증과 열감이 있을 때는 냉찜질을 합니다.

ㆍ근육힘줄인대를 약하게 만드는 음주와 흡연을 삼갑니다

ㆍ고른 영양을 규칙적으로 섭취하여 힘줄과 인대의 영양을 증진합니다

ㆍ평소 손가락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합니다.

   (아래의 운동과 스트레칭 부분 참고하세요)

 

 

 

 

 

 

 

 

손가락의 운동과 스트레칭

 

① 손가락 수동 운동

손가락을 다른 손으로 원위지절간관절(DIP joint) →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 → 중수지절관절(MCP joint) 순으로 굽혀주고역순으로 펴줍니다.

 

 

 

② 손가락 사이 수동 스트레칭

손가락 사이에 다른 손의 손가락을 넣어서 양옆으로 벌려서 늘여줍니다.

 

 

 

③ 손가락 펴기 수동 스트레칭

다른 손으로 스트레칭을 할 손가락을 잡고 손등 쪽으로 펴서 손바닥 쪽을 늘여줍니다.

 

 

 

④ 중수지절관절 수동 스트레칭

손가락을 다른 손으로 잡고 원위지절간관절(DIP joint)과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을 굽힌 상태로 손등 쪽으로 밀어 중수지절관절(MCP joint)의 손바닥 쪽을 늘여줍니다.

 

 

 

⑤ 지절간관절 운동

원위지절간관절(DIP joint) →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 순으로 손가락을 굽히고역순으로 펴줍니다.

 

 

 

⑥ 주먹쥐기 1

원위지절간관절(DIP joint) →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 → 중수지절관절(MCP joint) 순으로 손가락을 굽혀 주먹을 쥐고역순으로 펴줍니다.

 

 

 

⑦ 주먹쥐기 2

중수지절관절(MCP joint) →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 순으로 손가락을 굽혀줍니다.

원위지절간관절(DIP joint)은 굽히지 않습니다.

역순으로 손가락을 펴줍니다.

 

 

 

⑧ 원위지절간관절 저항운동

손가락 끝의 원위지절간관절(DIP joint)을 굽힙니다.

이때 다른 손으로 손가락 끝마디에 댄 채 운동하는 손가락이 굽혀지지 않도록 저항합니다.

 

 

 

⑨ 근위지절간관절 저항운동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을 굽힌 상태로 다른 손으로 끝마디 또는 중간마디에 댑니다.

운동하는 손가락은 근위지절간관절을 굽히는 방향으로 힘을 주고다른 손으로 굽혀지지 않도록 저항합니다.

 

 

 

⑩ 중수지절관절 저항운동

중수지절관절(MCP joint)을 굽힌 상태로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맞댑니다.

운동하는 손가락은 중수지절관절을 굽히는 방향으로 힘을 주고다른 손으로 굽혀지지 않도록 저항합니다.

 

 

 

 

⑪ 손가락 펴기 저항운동

손가락을 오므린 채 다른 손으로 각각의 손가락 끝마디를 손등 쪽에서 덮듯이 댑니다.

운동하는 손가락은 손가락을 펴는 방향으로 힘을 주고덮은 손가락은 펴지지 않도록 저항합니다.

 

 

 

⑫ 주먹 쥐고 펴기

주먹을 꽉 쥐었다 부채 모양으로 힘껏 폅니다.

 

 

 

 

 

 

 

 

 

아래 링크로 접속하시면 더 많은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울산시 중구 북구 상안동, 호계, 천곡, 달천, 신천, 매곡

아이플러스한의원

소아·어린이여성질환,

비염성장체형교정.

홈플러스 상안점 맞은 편

052)282-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