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침구과

[울산 지간신경종 치료] 지간신경종 원인 증상 깔창 패드 신발, 발바닥통증, 발가락통증. 지간신경종 한의원 한방치료. 봉약침 봉침 벌침. 치료잘하는 추천 울산시 북구 중구 아이플러스한의원.

by 아이plus한의원 2023. 3. 14.

 

 

 

지간신경종 (Interdigital Neuroma)

 

 

 

 

 

 

 

 

지간신경종은 발가락 사이 공간으로 지나가는 지간신경(온발가락신경. common digital nerve)과 그 주위 조직에 섬유화, 부종, 변성 등이 발생하여 신경을 압박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중족골(발허리뼈)과 지골(발가락뼈)의 관절인 중족족지관절 사이의 공간이 좁아서 이 부위에 신경의 압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특히 2~3 중족골 사이와 3~4 중족골 사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초로 지간신경종에 대한 논문을 쓴 의사의 이름을 따서 몰튼신경종(morton's neuroma)이라고도 합니다.

 

병명은 신경종이지만, 종양이라기보다는 신경이 압박되면서 생기는 신경염 또는 신경통에 해당합니다.

 

 

지간신경종은 남성에 비해 앞 볼이 좁고 굽이 높은 구두를 신는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지간신경종의 원인】

 

지간신경종은 신경이 지나가는 발가락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고, 그로 인해 신경이 압박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발가락 사이 인대의 비후, 신경 주변의 활액낭, 종괴, 지방종, 결절종, 발가락 변형 등이 발가락 사이의 공간을 좁혀 신경을 압박하거나, 걸을 때 신경의 자극으로 인해 신경의 섬유화와 부종이 발생하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족지골관절이 위치한 곳이 발가락 사이 공간이 더 좁기 때문에 종족지골관절과 발바닥 사이에서 지간신경종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대체로 잘못된 보행, 과도한 운동, 오래 서 있기, 불편한 신발의 착용 등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추락, 타박 등의 급성 외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지간신경종의 증상】

 

지간신경종의 대표적인 증상은 앞 발바닥의 통증입니다.

 

걸을 때 발바닥의 앞쪽에서 찌릿한 통증, 타는 듯한 통증, 따끔한 통증, 찌르는 통증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통증이 발가락으로 퍼지기도 하고, 앞 발바닥과 발가락이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기도 합니다.

 

앞 볼이 좁고 굽이 높은 구두를 신으면 증상이 악화되고, 신발을 벗거나 맨발로 푹신한 바닥을 걸을 때는 증상이 사라집니다.

 

발가락을 발등쪽으로 들면 증상이 나타나고, 발가락을 발바닥쪽으로 굽히면 증상이 사라지는 특징이 있고, 발 앞쪽을 마사지 해주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지간신경종의 진단】

 

지간신경종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검사인 초음파 검사 또는 MRI 검사를 할 수 있으나, 발가락사이의 공간을 압박하는 멀더클릭검사(Mulder's Click Sign)를 통해서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잇습니다.

 

 

■ 멀더클릭검사(Mulder's Click Sign)

 

통증이 있는 발가락 사이를 손가락으로 누르고, 다른 손으로 첫 번째와 다섯 번째 종족지골관절부위를 양옆에서 발 중심 방향으로 쥐어짜듯 압박하면 지간신경종의 위치가 바뀌면서 연발음(Click)이 나타나고 통증이 발생합니다.

 

통증이 나타나지 않고, 연발음만 있다면 지간신경종으로 진단하지 않습니다.

 

 

 

 

 

 

 

 

【지간신경종의 한방치료】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이 유발되는 부위에 봉약침치료, 침치료, 뜸치료 등을 통해 통증을 완화합니다.

 

봉약침치료는 항염, 진통 작용을 통해 신경의 염증을 치료하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침치료는 기혈순환을 촉진하여 발의 회복력을 높이고, 발의 근육을 이완하여 발가락 사이의 공간을 확보합니다.

 

뜸치료는 인대의 부종을 가라앉히고 신경주위의 조직을 따뜻하게 이완하여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확보합니다.

 

 

지간신경종이 재발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중족골 패드 첨가한 족교정장치(foot orthotics)를 사용하여 발가락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재발을 방지합니다.

 

 

 

 

 

 

 

 

 

 

【지간신경종의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생활관리】

 

ㆍ볼이 넓고, 굽이 낮고, 바닥이 부드러운 신발을 신습니다.

    (발가락이 신발 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합니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은 삼갑니다.

ㆍ오래 서 있거나 오래 걷지 않습니다.

ㆍ쪼그려 앉지 않습니다.

ㆍ발이 피로할 경우에는 온수로 족욕을 하거나, 발을 마사지합니다.

ㆍ규칙적으로 균형잡힌 영양을 섭취합니다.

 

 

 

 

 

 

 

 

 

 

 

 

울산시 중구 북구 상안동, 호계, 천곡, 달천, 신천, 매곡

아이플러스한의원

소아·어린이, 여성질환,

비염, 성장, 보약,

체형교정, 턱관절, 봉약침, 추나.

홈플러스 상안점 맞은 편

052)282-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