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신경통 (Trigeminal Neuralgia)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은 12개의 뇌신경 중 5번째 뇌신경으로 3개의 분지를 내어 안면에 분포합니다.
3개의 분지로 나뉜다고 삼차신경이라고 하고, 안면의 감각을 담당하며, 일부 분지는 씹는 운동에 관여합니다.
제1지(V1)는 안신경(눈신경), 제2지(V2)는 상악신경(위턱신경), 제3지(V3)는 하악신경(아래턱신경)으로 나누어집니다.
3개의 분지가 얼굴의 약 1/3씩의 감각(촉각, 통각, 압력감각, 온도각 등)을 담당하고, 아래턱으로 가는 하악신경은 교근(씹기근육)을 지배하여 음식물을 씹는 운동을 조절합니다.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은 삼차신경의 분포영역을 따라 얼굴의 한쪽에서 극심한 통증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중년이후에 주로 나타나지만 어느 연령대에서도 발병될 수 있으며, 여성에게 좀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삼차신경통의 원인】
삼차신경통은 원인이 명확한 경우에는 증후성 삼차신경통이라고 하고,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를 특발성 삼차신경통이라고 합니다.
증후성 삼차신경통의 원인으로는 외상에 의한 삼차신경의 손상, 중이염, 부비동염, 대상포진 등의 감염성 질환의 침범, 삼차신경의 지나는 부위의 종양, 동맥류, 동정맥기형, 충치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발성 삼차신경통은 원인불명이지만, 삼차신경의 노화에 따른 변화로 발생한다는 주장과 혈관에 의한 삼차신경의 압박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차신경통의 증상】
얼굴과 입안 등의 삼차신경 지배영역에서 갑자기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통증이 가장 심한 질병 중의 하나입니다.
대체로 얼굴 한쪽의 제2지와 제3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수 초에서 수 십초 동안 통증이 있다가 사라지고, 휴지기를 가지다가 다시 통증 발작이 반복됩니다.
발병 초기에는 휴지기가 길지만, 질병이 진행할수록 통증 발작 간격이 짧아집니다.
통증의 양상은 칼로 찌르는 듯한, 전기가 흐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세안, 씹기, 말하기, 양치, 말하기, 면도, 찬바람 등의 다양한 자극이 얼굴에 발생하면 통증이 나타납니다.
통증과 함께 눈물, 침, 땀이 분비되기도 합니다.
얼굴의 특정 부위를 만지기만 해도 통증이 유발되는 통증 유발점이 있으며, 통증 유발점은 안면 중앙부에 위치하고 통증 부위와 다른 부위인 경우도 있습니다. 대체로 입과 코 주위, 잇몸에 통증 유발점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후성 삼차신경통은 통증이 지속적이며 아주 강한 편은 아니고, 특발성 삼차신경통은 통증이 강렬합니다.
삼차신경통이 제3지인 하악신경에서 발생하는 경우 치통과 구분하기 어려워 이를 뽑거나 신경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치과 치료를 해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삼차신경통의 한방치료】
증후성 삼차신경통은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발성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노화 또는 혈관의 신경압박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 외 경추의 정렬 이상으로 인한 머리로의 혈액순환 장애가 있거나, 머리가 기울어져 뇌의 압력이 고루 분산되지 않고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두개내 환경이 안 좋으면 5번째 뇌신경인 삼차신경의 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추의 정렬에 이상이 있으면 추나치료를 통해 경추의 위치를 바로 잡고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봉약침치료를 통해 신경 기능의 회복하고, 침치료 및 한방물리요법을 통해 목의 긴장을 완화하고 기혈순환을 촉진하여 삼차신경통을 치료합니다.
삼차신경절에서 삼차신경이 분지되는 곳은 귀앞이고, 이곳은 턱관절이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로 인해 삼차신경이 압박되면 삼차신경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턱관절을 치료하여 삼차신경통을 치료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턱관절 장애 : https://blog.naver.com/kids_plus_km/222846654825
울산시 중구 북구 상안동, 호계, 천곡, 달천, 신천, 매곡
아이플러스한의원
소아·어린이, 여성질환,
비염, 성장, 보약,
체형교정, 턱관절, 봉약침, 추나.
홈플러스 상안점 맞은 편
052)282-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