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침구과

[울산 손목통증 치료] 팔목통증 원인, 운동, 스트레칭. 손목염좌, 건염, 건초염, 손목터널증후군, 결절종. 추나 봉약침. 치료잘하는 추천 울산시 북구 중구 아이플러스한의원.

by 아이plus한의원 2022. 10. 11.

 

손목 통증

 

 

 

 

 

 

 

 

손은 사람이 아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신체 부위입니다.

 

손은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많은 수의 관절을 형성하고관절을 지지하는 인대가 안정성을 높여주고많은 수의 근육과 힘줄()이 뼈에 붙어 있어 다양하고 섬세한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손목은 2개의 전완골(아래팔뼈), 8개의 수근골(손목뼈), 5개의 중수골(손허리뼈)이 모여서 복합관절을 이룹니다.

 

전완골인 요골(노뼈)과 척골(자뼈)이 하요척관절을 형성합니다.

 

8개의 수근골은 2열로 배열되는데몸쪽에 가까운 1열에는 주상골(손배뼈)월상골(반달뼈)삼각골(세모뼈)두상골(콩알뼈)이 있고몸쪽에서 먼 2열에는 대능형골(큰마름뼈)소능형골(작은마름뼈), 유두골(알머리뼈)유구골(갈고리뼈)가 있습니다.

 

1열과 요골사이에 요골수근관절을 형성하고, 1열과 2열의 뼈 사이에 중수근관절(수근중앙관절)을 형성하고인접하는 8개의 수근골 사이에 수근간관절을 형성합니다.

 

5개의 중수골과 2열의 수근골이 수근중수관절을 형성하고인접하는 5개의 중수골 사이에 중수간관절을 형성합니다.

 

손목에는 복합관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양한 인대가 있고광범위한 움직임을 수행하는 많은 수의 근육과 힘줄이 분포합니다.

 

 

 

 

 

 

 

 

손목의 움직임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합니다.

 

손등쪽 방향으로 굽히는 신전(Extension)손바닥쪽 방향으로 굽히는 굴곡(Flexion)이 가능합니다.

손을 요골쪽(엄지쪽) 방향으로 굽히는 요측측굴(Radial deviation)척골쪽(소지쪽) 방향으로 굽히는 척측측굴(Ulnar deviation)을 할 수 있습니다.

손바닥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손을 펼치는 회외(Supination)손등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손을 엎치는 회내(Pronation)가 가능합니다.

 

신전과 굴곡은 각각 80°가 가능하고요측굴곡은 20°, 척측측굴은 30°가 가능합니다.

 

손등쪽에는 손가락과 손목을 신전시키는 근육과 힘줄이 있고손바닥쪽에는 손가락과 손목을 굴곡시키는 근육과 힘줄이 있습니다.

 

이들의 움직임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고회전도 가능합니다.

 

 

손을 움직이기 위한 근육과 힘줄 및 신경은 손목을 통과하게 되므로강한 힘을 쓰거나 장시간 미세한 수작업을 할 때 손목이 피로해지거나 다쳐서 손목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목 자체를 많이 쓰게 되면 손목의 관절근육힘줄인대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손목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손목 통증은 손목 관절과 인대근육힘줄신경 등의 손상염증과사용구조적 이상외부 충격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목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손목 염좌

 

손목 염좌는 손목의 인대근육힘줄이 손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인대근육힘줄은 관절과 뼈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가해지거나관절의 가동 방향에 어긋나는 힘이 가해지거나가동 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이 일어나거나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됩니다.

 

 

손목 염좌가 발생하면 염좌 부위에 통증부종열감이 나타나고피하 출혈이 있을 경우 중력에 의해 병변의 아래쪽으로 멍이 듭니다.

 

손목을 만지거나 움직이면 통증이 심해지고손목을 움직일 때 힘이 없고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집니다.

 

손이 저리거나 손가락이 부을 수도 있습니다.

 

손상이 심하여 손목 관절의 불안정성이 발생하면 손을 쓰기가 힘들어지고이런 경우에는 손상 당시에 ’ 하는 소리나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목 건염

 

(힘줄)은 근육섬유들이 모여 뼈에 붙을 수 있게 만들어진 조직으로근육의 힘을 뼈에 전달해서 온몸을 움직일 수 있게 해줍니다.

 

손목 건염은 손목 부위의 건에 손상 및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써서 건염이 발생할 수 있으나대체로 근육을 반복해서 쓸 때 건이 손상되어 건염이 발생합니다따라서 손을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손목 건염이 잘 발생합니다.

 

 

손목 건염이 발생하면 손과 손목을 움직일 때 해당 근육에 힘이 들어가면 뼈에 붙은 건부위와 근육을 따라 통증이 나타고붓거나 붉게 변할 수도 있습니다.

 

정지 자세로 오랜 시간 있다가 처음 움직일 때 통증이 더 심하고조금 움직이다 보면 통증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손목 건염의 발생 초기에는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으로 회복되기도 하지만빨리 치료할수록 회복이 잘 됩니다.

 

일찍 치료하면 2주 내외로 회복하는 경우가 많으나참다가 건염이 악화되면 치료에 오랜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손목 건초염(건막염)

 

몸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은 근육이 수축할 때 뼈를 당기기 때문입니다.

 

근육은 치밀한 섬유성 조직인 건(힘줄)의 형태로 뼈에 붙어 있어근육의 힘을 뼈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근육에서 뼈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바꾸거나 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르래 역할을 하는 지지띠(인대)가 건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지지띠와 맞닿은 건은 활액막으로 둘러싸여 있고활액막에서는 윤활액을 분비하여 건과 지지띠와의 마찰건과 주위 조직과의 마찰건끼리의 마찰을 줄여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건을 보호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도와주는 활액막을 건초(건막)라고 하고건초(건막)에 마찰에 의한 손상이나 감염 등으로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건초염(건막염)이라고 합니다.

 

 

손목 건초염으로는 엄지손가락으로 이어지는 건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인 드퀘르뱅 병(De Quervain’s Disease)이 가장 흔합니다.

 

손목의 엄지쪽에는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의 건(힘줄)과 단무지신근(extensor pollicis brevis)의 건이 지나가고신전근 지지띠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엄지손가락은 손가락 중에서 가장 굵고 힘이 강한데손과 손목을 많이 쓰면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과 건에 손상이 누적되어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염증으로 인해 엄지손가락을 사용할 때 엄지손가락쪽의 손목부위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수근관 증후군(손목 터널 증후군)

 

손을 움직이고 감각을 느끼기 위해서 신경혈관힘줄이 손목을 거쳐 손등과 손바닥을 지나갑니다손등 쪽은 신경혈관힘줄이 넓게 퍼져 있지만손바닥 쪽은 중심부에 관처럼 생긴 수근관(손목 터널)이라는 구조물 속에 뭉쳐있습니다.

 

손목에서 손으로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눌려서 정중신경의 지배영역인 손과 손가락에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이 수근관 증후군(손목 터널 증후군)입니다.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관의 공간이 줄어들어 정중신경이 압박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수근관을 덮고 있는 수근관 인대가 부어서 정중신경을 자극할 수 있고정중신경 주위의 힘줄이 두꺼워져 신경을 압박할 수 있으며뼈의 탈골이나 골절로 신경을 누를 수도 있습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발병 원인은 대부분 손의 반복적이고 과다한 사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손목, 1~3, 4지의 엄지쪽손바닥 등의 부위에 통증저림부종감각 이상 등이 있습니다.

 

손가락 끝이 화끈거리기도 하고아침에 손이 굳고손에 경련이 나타나고손목을 굽히거나 펴면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심한 경우 잠을 잘 때 손의 저림과 통증이 심하고손을 마사지하거나 털어주면 통증이 가라앉기도 합니다.

 

 

 

 

 

 

 

 

손목 결절종

 

결절종은 힘줄()이나 관절을 싸고 있는 막에 액이 차면서 부풀어 오르는 물혹의 일종입니다.

 

손에 발생하는 종양 중에 가장 흔한 것으로, 50~70% 정도를 차지하고손을 많이 쓰는 사람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크기는 작은 콩알만 한 것부터 커다란 포도알만 한 것까지 다양하고손과 손목을 사용하다 보면 결절종이 서서히 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절종은 관절막힘줄막(건초건막)에 마찰이나 외상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여 막이 부불어 오르고그 속에 관절액이나 윤활액이 모여서 낭종(물혹)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절막과 힘줄막의 퇴행성 변화로 점액이 생성되고점액이 고여 물혹이 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결절종은 일반적으로는 외관상 볼록 솟아있는 것 외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절종이 어느 정도 이상 커지게 되면 관절이나 힘줄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어 불편감이 느껴지고더 심해지면 주위의 혈관이나 신경을 압박해서 통증근력저하저림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손을 적게 쓰고 마찰이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줄어들기도 하지만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절종은 그 자체로는 불편하지는 않으나크기가 커지면서 주위 조직을 압박하여 증상을 일으키거나 미용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치료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추 질환

 

경추는 7개의 목뼈로 이루어지고머리의 무게와 움직일 때의 힘과 충격을 흡수하고 버티기 위해 앞쪽으로 굽어있는 전만(前彎)을 형성합니다.

 

7개의 목뼈가 모여 척추의 중심부에 척추관을 형성하고이 척추관으로는 척수가 지나갑니다.

위아래의 인접한 척추 사이에 형성된 추간공으로 척추신경이 지나갑니다.

 

경추는 1~8번의 8개의 경추신경(C1 ~ C8)이 분지되고이 중 손목에는 경추 6~8번 신경(C6 ~ C8)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자세 이상경추 염좌일자목거북목경추 디스크(추간판 탈출증)경추 협착증 등으로 경추 6~8번 신경이 압박되면 목과 어깨의 통증과 함께 손목의 통증저림당김이상 감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에 통증이나 증상 없이 경추신경이 자극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목이 아프거나 불편하지 않아도 손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손목에 이상이 없는데도 손목이 아프다면경추 질환을 살펴보고 치료해줘야 합니다.

 

 

 

 

 

 

 

 

손목은 생활에서 많이 쓰는 부위이기 때문에 미세한 손상이 누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손목 통증 치료가 부진하면 손목이 약해져서 가벼운 충격에도 손상이 반복될 수 있고더 심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목 통증의 한방 치료로는 봉약침치료침치료부항치료뜸치료추나치료한약치료 등의 치료법을 씁니다.

 

봉약침치료는 항염증진통해열 작용으로 손목의 근육인대힘줄의 손상을 회복합니다.

 

침ㆍ뜸ㆍ부항치료는 통증을 완화하고기혈순환을 증진하여 손상부위의 회복을 촉진합니다.

 

경추의 틀어짐을 동반하는 경추 질환은 추나치료로 정상위치를 회복시켜 줍니다.

 

만성 손목 통증에는 한약치료를 통하여 손목의 관절근육인대를 강화하여 치유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손목 통증을 예방 및 완화하기 위한 생활관리

 

ㆍ지나친 손과 손목의 사용을 삼갑니다.

ㆍ손을 사용하기 전에 따뜻하게 이완시키거나 손목을 스트레칭합니다.

ㆍ차가워지면 인대근육힘줄이 굳어져 손상받기 쉬우니 손목을 따뜻하게 관리합니다.

   통증이 심하거나사용 이후에 손목에 통증 및 열감이 있을 때는 냉찜질을 해주세요.

ㆍ작업 전후에 손목 스트레칭으로 관절과 힘줄을 부드럽게 풀어주세요.

ㆍ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손목에 쿠션을 사용하세요.

ㆍ손을 쓸 때 손에 힘을 빼도록 노력합니다.

ㆍ통증이 있을 때는 손목을 움직이기보다는 안정을 취합니다.

ㆍ불가피하게 손을 써야 할 때는 손목보호대 또는 압박붕대 등으로 손목을 고정 및 압박합니다.

ㆍ장시간 반복되는 작업시 휴식시간 가지세요.

ㆍ음주는 관절과 힘줄을 약하게 하여 손상받기 쉬워지니절주 또는 금주하세요.

ㆍ규칙적이고 고른 영양 섭취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으로 건강을 유지하세요.

ㆍ통증이 완화되면 손목 운동과 스트레칭을 규칙적으로 합니다.

 

 

 

 

 

 

 

 

 

 

울산시 중구 북구 상안동, 호계, 천곡, 달천, 신천, 매곡

아이플러스한의원

소아·어린이여성질환,

비염성장체형교정.

홈플러스 상안점 맞은 편

052)282-0070